조기배란5 여덟번째 과배란 (21년 6월, 채취 취소) 21년 4월 2일 근종 제거수술을 하고 두번째 과배를 시작하기 전에 항산화 수액을 맞기로 했어요. 6월 3일 gc셀레늄, gc멀티주 링거(비급여 52,000원)를 맞았어요. (지난 과배란과 동일) 과배란 전에 수액을 맞으면서 병원에 있을 때 정말 별 생각을 다해요. 난자가 잘 자라주길… 수액이 효과가 있어주길… 등 등 기도도 하고 걱정도 하고… 그래도 지금 다니는 곳은 수액실이 아늑해서 불편함 없이 수액을 맞을 수 있었어요. 여덟번째 과배란 첫 내원일(6월 8일) 생리 1일차인데 호르몬이 생리3일차라고 함. FSH 7.16 LH 3.27 E2 42.48 P4 0.182 TSH 1.10 PRL 10.91 오른쪽 난포: 1개 클 것 같지 않음. 왼쪽 난포: 안보임 난자질 때문에 혈당강화제 문의하였으나 당화혈.. 2021. 12. 26. 과배란(1~6번째) 과정 호르몬 변화로 알아보는 실패원인 난소기능저하(난소부전)로 시험관 과정에서 과배란 단계를 1년가까이 이어가는 것은 힘들지만 희망을 붙잡는 과정이에요. 앞선 포스팅에서 근종을 제거 하기 전 과배란과정과 호르몬 변화를 기록했는데 오늘은 그 종합으로 호르몬 변화를 표로 정리해보았어요. 이렇게 자기 몸의 변화를 기록해두고 관찰하면 다음 과배란 주기에서도 몸의 변화를 기억하고 불편하거나 불안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었어요. 표를 잘 살펴보면 1. 첫번째 조기배란은 LH수치가 P4나 FSH 수치에 비해서 확 뛰어서 조기배란으로 판단하고 주기취소했어요. 2. E2수치가 확 높아서 부정출혈이 있었고 정상생리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주기취소했어요. 이후 다시 정상생리가 왔지만 다시 병원에 오라거나 그런 안내는 없었어요. 난소기능저하의 경우 부정출혈이 이어져.. 2021. 12. 5. 네번째 과배란 (12월-21년 1월, 초음파 중 배란, 실패) 20년 12월 생리가 찾아왔어요. (직전 부정출혈 부터 약 30일 경과 진짜 생리로 부터 23일 경과) 저는 정말 생리가 끊기지 않으면 임신이 가능한 것이라 생각했고 너무나 규칙적인 생리를 해왔기에 어렵지만 40대여도 임신이 가능하리라 자만했어요.ㅠㅠ 그래서 포기 못합니다. 다시 네번째 과배란으로 도전~! 네번째 과배란 첫진료일 20년 12월 26일(생리 3일째) 초음파 내막: 5.6 오른쪽 난포: s 왼쪽 난포: 8 호르몬수치 P4 0.05 FSH 18.3 E2 21.7 LH 7.8 Hcg 0.2 네번째 과배란 두번째 진료일 20년 12월 31일(생리 8일차) 초음파 내막 4.8 오른쪽 난포 4 왼쪽 난포 13 호르몬수치 P4 0.05 E2. 51.2 LH 9.5 프로게스테론과 E2수치가 어떤 상태인지.. 2021. 12. 1. 세번째 과배란 (11월…중단ㅠㅠ) 첫 채취이후 18일만에 다음 생리가 찾아왔어요. 생리혈 색이나 양에서 평상시보다 변화가 있었지만 (양은 적고, 색은 붉은빛 없는 생리혈색) 보통 채취 후 14일 후 생리가 오니 정말 생리인 줄 알았….ㅠㅠ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여곡절 끝에 난소기능저하(난저), 고령난임에 좀 더 전문이라고 병원에서 홍보하고 있는 교수님께 손바꿈(주치의 변경)을 요청했고 병원에서 처음엔 어려운 일이라고 했으나 제 히스토리를 확인하고 요청을 받아들여줬어요. 세번째 과배 첫진료 20년 11월 27일(생리3일차) 초음파 내막 7.4 오른쪽 난소 3.2*2.4(cm). 왼쪽난소 2.4*0.9(cm) 오른쪽 난포: 2.3, 1.6 물혹의심/ s 왼쪽난포 : TAS , 근종에 가려져서 배를 음청시리 눌러가며 난소를 찾아야.. 2021. 11.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