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배란10

일곱번째 과배란 (근종 수술 후 첫과배란, 1개수정 냉동 성공)/신선2차 21년 4월 2일에 로봇다빈치수술로 거대근종을 제거하고 바로 과배란을 시작했어요. 근종 수술 후 일주일도 안지나서 생리가 지나가고 그 다음 생리부터 난임병원을 방문했어요. 근종수술 후 아물고 이식이 가능해질 때까지는 배아 냉동을 하기로 이미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가 되어있었구요. 선생님의 배려로 수술도 빨리 받을 수 있어서 희망에 차있었네요 ㅎㅎㅎ 생리 시작 전 5월 14일에는 카카오톡으로 상담을 통해서 과배란에 도움이 되는 gc셀레늄, gc멀티주 링거도 맞았어요. (비급여 52,000원) 이건 좀 천천히 맞는 주사제라고 2시간 넘게 맞았어요. 일곱번째과배란 첫 내원일(5월17일) 왼쪽 난포 없음 오른쪽 난포 2개 자람. 저자극으로 진행 예정 안내받음. 처방 성장호르몬(유트로핀) 0.5바이알 고날에프 15.. 2021. 12. 18.
과배란(1~6번째) 과정 호르몬 변화로 알아보는 실패원인 난소기능저하(난소부전)로 시험관 과정에서 과배란 단계를 1년가까이 이어가는 것은 힘들지만 희망을 붙잡는 과정이에요. 앞선 포스팅에서 근종을 제거 하기 전 과배란과정과 호르몬 변화를 기록했는데 오늘은 그 종합으로 호르몬 변화를 표로 정리해보았어요. 이렇게 자기 몸의 변화를 기록해두고 관찰하면 다음 과배란 주기에서도 몸의 변화를 기억하고 불편하거나 불안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었어요. 표를 잘 살펴보면 1. 첫번째 조기배란은 LH수치가 P4나 FSH 수치에 비해서 확 뛰어서 조기배란으로 판단하고 주기취소했어요. 2. E2수치가 확 높아서 부정출혈이 있었고 정상생리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주기취소했어요. 이후 다시 정상생리가 왔지만 다시 병원에 오라거나 그런 안내는 없었어요. 난소기능저하의 경우 부정출혈이 이어져.. 2021. 12. 5.
여섯번째 과배란(21년 2월-3월) 여섯번째 과배란 첫진료일 (생리 1일째) 초음파 내막 4.6 오른쪽 난소 ; 2.4*1.3 왼쪽 난소: 1.9*1.1 오른쪽 난포: s 왼쪽 난포: s 호르몬수치 P4 0.22 FSH. 17.8 E2 11.8 LH. 7.4 hcg 0.2 여섯번째 과배란 두번째 진료일 (21년 3월 2일, 생리 8일째) 내막 5.4 오른쪽 난포 3 왼쪽난포 s E2. 15.3 여섯번째 과배란 세번째 진료 (21년 3월 5일, 생리 11일차) 내막 5.8 오른쪽 난포 4 왼쪽 난포 s 사실,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주기는 과배란이 아니에요. 주사를 써서 배란을 많이 해보려는 시도가 없이 자연주기로 시도해본 것이기 때문에.. 다섯번번째 주기는 그래도 난포가 왼쪽에서 자라주었지만 여섯번째 주기는 난포가 자라주질 않어요. 지난 달 .. 2021. 12. 1.
네번째 과배란 (12월-21년 1월, 초음파 중 배란, 실패) 20년 12월 생리가 찾아왔어요. (직전 부정출혈 부터 약 30일 경과 진짜 생리로 부터 23일 경과) 저는 정말 생리가 끊기지 않으면 임신이 가능한 것이라 생각했고 너무나 규칙적인 생리를 해왔기에 어렵지만 40대여도 임신이 가능하리라 자만했어요.ㅠㅠ 그래서 포기 못합니다. 다시 네번째 과배란으로 도전~! 네번째 과배란 첫진료일 20년 12월 26일(생리 3일째) 초음파 내막: 5.6 오른쪽 난포: s 왼쪽 난포: 8 호르몬수치 P4 0.05 FSH 18.3 E2 21.7 LH 7.8 Hcg 0.2 네번째 과배란 두번째 진료일 20년 12월 31일(생리 8일차) 초음파 내막 4.8 오른쪽 난포 4 왼쪽 난포 13 호르몬수치 P4 0.05 E2. 51.2 LH 9.5 프로게스테론과 E2수치가 어떤 상태인지.. 2021. 12. 1.
반응형